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브로 마예르

덤프버전 : (♥ 0)

||
1 카스테일스 (VC) · 2 피셔 · 3 보르나우 · 4 라크루아 · 5 체지거 · 6 브랑크스 · 7 체르니 · 8 코자 · 9 사르
10 L. 은메차 · 11 토마스 · 12 페르반 · 13 호제리우 · 16 카민스키 · 18 페이치노비치
19 마예르 · 20 바쿠 · 21 멜레 · 23 · 25 옌츠 · 27 아르놀트 (C) · 30 클링거 · 31 게르하르트
32 스반베리 · 35 슐체 · 38 프라니치 · 39 비머 · 40 파레데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니코 코바치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dfl-obj-j01be1-dfl-clu-000003-dfl-sea-0001k7.png
VfL 볼프스부르크 No. 19
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출생1998년 1월 17일 (26세)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국적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신체178cm, 75kg
포지션미드필더[2]
주발왼발
유소년 클럽NK 포사비나 자그레브 (2002~2004)
NK 쿠스토시야 (2004~2006)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06~2010)
NK 두브라바 (2010~2011)
NK 트리에 (2012~2013)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2013~2016)
소속 클럽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2016~2018)
GNK 디나모 자그레브 (2018~2021)
스타드 렌 FC (2021~2023)
VfL 볼프스부르크 (2023~ )
국가대표27경기 5골[3] (크로아티아 / 2017~ )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크로아티아 국적의 VfL 볼프스부르크 소속 축구선수.


2. 클럽 경력[편집]



2.1.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편집]


2016년,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1군에 소집되었다. 2016년 6월 30일, 산타 콜로마와의 UEFA 유로파 리그 예선전에서 성인 무대 데뷔를 했다. 2016년 7월 17일,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1차전에서 프르바 HNL 데뷔전을 치렀다. 2016년 10월 25일, 비노그라다르와의 크로아티아 컵 2라운드에서 골을 넣었었으며, 그의 골로 로코모티바는 8강에 진출했다.

2018년 3월 10일, 디나모 자그레브와의 원정 경기에서 2골을 넣었는데, 로코모티바는 디나모와의 원정 경기에서 28번의 시도 끝에 승리를 거두었다. 2018년 6월 8일, 2017-18 시즌 프르바 HNL 시즌에서의 활약으로 크로아티아 축구 연맹으로부터 최우수 영플레이어상을 받았고, 올해의 팀에도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마예르는 로코모티바에서 뛰는 동안, 뉴캐슬 유나이티드삼프도리아로부터 관심을 받기도 했다.


2.2. GNK 디나모 자그레브[편집]


2018년 6월 27일, 디나모 자그레브와 계약하여 등번호 10번을 받았다. 7월 27일, 디나모에서의 리그 데뷔전에서, 발목 부상을 당하였다. 수술이 불가피 했고, 결국 시즌 전반기를 놓쳤다.

마예르는 네나드 비엘리카 감독의 재임 기간 동안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다. 같은 포지션에서 뛴 그의 팀 동료 다니 올모의 좋은 활약 때문이었다. 12월 11일, 맨체스터 시티와의 경기에서 UEFA 챔피언스 리그에 데뷔하였다. 팀 내 위상에 불만을 품은 마예르는 2020년 7월 버밍엄 시티로 이적할 뻔 했지만, 디나모에 의해 이적이 무산되었다. 조란 마미치 감독이 부임한 후 기회를 많이 받기 시작했고, 2020년 7월 24일 바라즈딘과의 경기에서 1골 1도움을 기록했다.

2020-21 시즌을 앞두고, 디나모의 라이벌인 NK 오시예크는 영입을 시도했지만, 디나모가 선수 매각을 거부했다. 8월 16일, 시즌 첫 경기 로코모티바와의 경기에서 2골을 넣었다. 시즌 초반 좋은 활약을 펼친 후, 이탈리아 언론은 10월 22일 페예노르트와의 유로파리그 경기에서 밀란 스카우트들이 그를 지켜봤다고 보도했다. 11월 16일, 코로나 19 양성 반응을 보여 한동안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에서 2골 3도움으로 팀이 조 1위를 차지하도록 했고, 그의 활약으로 찬사를 받았다. 12월 21일, 2026년까지 새 계약을 채결했다. 겨울 이적 시장에서 제니트, 피오렌티나, 마르세유의 관심을 끌었지만 디나모는 이적료에 불만을 품고 선수 매각을 거부했다.

2021년 8월 25일, 셰리프 티라스폴과의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디나모 소속으로 100번째이자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


2.3. 스타드 렌 FC[편집]


2021년 8월 26일, 프랑스 리그앙의 렌과 5년 계약을 맺었다. 4일 후, 앙제와의 경기에서 교체출전해 리그에 데뷔했다.

35R 생테티엔전에서 멀티골을 넣으며 맹활약했다.

2022-23 시즌 여름에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겨울에는 아스날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예상 이적료는 €30M. 그러나 이적설에도 불구하고 2022년 10월, 5년 재계약을 맺었다.

2023년 6월, 구단이 엔조 르페루도빅 블라의 영입을 노리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마예르의 오퍼를 들아볼 것이라고 한다. VfL 볼프스부르크바이어 04 레버쿠젠이 마예르에게 관심을 드러내고 있으며, 입찰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이후 2023년 8월 14일자로 VfL 볼프스부르크가 영입 사가에서 승리를 했으며, 약 €30M의 패키지로 이적 합의가 마무리되었다고 한다. 이는 율리안 드락슬러 이후 볼프스부르크의 역대 2번째로 비싼 영입료라고 한다.

2.4. VfL 볼프스부르크[편집]


2023년 8월 16일, VfL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했다. 5년 계약.# 이적료는 €30M.

3. 국가대표 경력[편집]


2017년 5월 28일, 멕시코와의 친선경기에서 크로아티아 성인대표팀에 데뷔했다.

2021년 5월 17일, UEFA 유로 2020 예비명단에 포함되었지만, 최종명단에는 들지 못했다.

2021년 11월에 치러지는 몰타, 러시아와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2연전을 앞두고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2021년 11월 11일,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H조 9라운드 몰타와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멀티골을 터뜨리며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경기는 7:1 대승으로 마쳤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최종명단에 포함되었고, 2차전 캐나다전에서 교체로 출전하여 미슬라브 오르시치의 패스를 받아 팀의 4번째 골을 넣으며 4:1 대승에 기여했다.

8강 브라질전에서 팀의 극적인 동점골로 승부차기까지 이어지자 2번 키커로 나서 과감하게 가운데로 슛을 성공시켜 4강 진출에 기여했다.

4강 아르헨티나전에서도 교체로 출전했으나 리오넬 메시의 우승을 위해 단결한 아르헨티나를 막기엔 역부족이었고 결국 팀의 0:3 패배를 막지 못한다. 이후 모로코와의 3위 결정전에선 선발로 출전하여 팀의 승리를 이끌고 대회를 3위로 마쳤다.

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 결승전 승부차기에서 4번 키커로 나섰으나 우나이 시몬의 선방에 막혀 패배의 한 축을 담담하고 준우승에 그쳤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크로아티아의 플레이메이커형 계보를 잇는 미드필더. 정교한 왼발 킥을 갖추고 있다는 게 마예르의 가장 뛰어난 장점. 팀의 전담 키커를 담당할 정도로 킥이 좋다. 패스도 날카로워서 공격 시 킬패스를 뿌려주며, 직접 경기를 조율한다. 또한 온더볼 능력도 뛰어나서 직접 드리블로 전진하거나 압박을 풀어낸다. 빠르고 민첩해서 동작도 간결하고, 템포도 빠르게 가져간다. 특히 퍼스트 터치가 부드러워서 플레이가 깔끔한 편. 활동량도 많은 편이다. 여러모로 국대 선배인 루카 모드리치와 비슷한 면을 보인다.

다만, 활동량은 많지만 체력이 아쉬워서 후반전 영향력이 떨어진다. 또한 쳬격이 비교적 작은 편이라, 헤딩 같은 경합 능력이 떨어지는 편. 또한 약한 발도 종종 어느 정도 능숙하게 사용하는 모드리치와 달리 극단적인 왼발 편향의 모습을 보인다.


5. 여담[편집]


파일:57d574e0-7258-40a3-8604-0c760a2ba81d.jpg
  • 2008년 디나모 자그레브와 하이두크 스플리트와의 컵 결승전에서 당시 디나모 자그레브 소속이던 루카 모드리치의 플레이어 에스코트 아동이었다.

  • FC 바르셀로나의 팬이라고 하며 드림클럽이라한다.[4]

6. 같이 보기[편집]


파일:VfL 볼프스부르크 로고.svg
VfL 볼프스부르크 2023-24 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VfL 볼프스부르크 2023-24 시즌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파일:벨기에 국기.svgGK쿤 카스테일스Koen Casteels부주장
2파일:독일 국기.svgDF킬리안 피셔Kilian Fischer
3파일:벨기에 국기.svgDF세바스티안 보르나우Sebastiaan Bornauw
4파일:프랑스 국기.svgDF막상스 라크루아Maxence Lacroix
6파일:독일 국기.svgMF아스터르 브랑크스Aster Vranckx
7파일:체코 국기.svgFW바츨라프 체르니Václav Černý
8파일:프랑스 국기.svgDF니콜라 코자Nicolas Cozza
9파일:스웨덴 국기.svgFW아민 사르Amin Sarr[A]
10파일:독일 국기.svgFW루카스 은메차Lukas Nmecha
11파일:포르투갈 국기.svgFW티아구 토마스Tiago Tomás
12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GK파바오 페르반Pavao Pervan
13파일:브라질 국기.svgDF호제리우Rogério
14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FW요시프 브레칼로Josip Brekalo
16파일:폴란드 국기.svgFW야쿠프 카민스키Jakub Kaminski
18파일:독일 국기.svgFW제난 페이치노비치Dženan Pejčinović
19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MF로브로 마예르Lovro Majer
20파일:독일 국기.svgDF리들레 바쿠Ridle Baku
21파일:덴마크 국기.svgDF요아킴 멜레Joakim Mæhle
23파일:덴마크 국기.svgMF요나스 빈Jonas Wind
25파일:독일 국기.svgDF모리츠 옌츠Moritz Jenz
27파일:독일 국기.svgMF막시밀리안 아르놀트Maximilian Arnold주장
28파일:독일 국기.svgFW루카 발트슈미트Luca Waldschmidt
29파일:프랑스 국기.svgMF조슈아 길라보기Josuha Guilavogui
30파일:독일 국기.svgGK니클라스 클링거Niklas Klinger
31파일:독일 국기.svgMF야니크 게르하르트Yannick Gerhardt
32파일:스웨덴 국기.svgMF마티아스 스반베리Mattias Svanberg
33파일:스위스 국기.svgDF세드리크 체지거Cédric Zesiger
35파일:독일 국기.svgGK필리프 슐체Philipp Schulze
38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MF바르톨 프라니치Bartol Franjic
39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FW파트리크 비머Patrick Wimmer
40파일:미국 국기.svgMF케빈 파레데스Kevin Paredes
구단 정보
감독: 니코 코바치 / 구장: 폴크스바겐 아레나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1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k Livaković)
1995년 1월 9일 (29세)41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12이보 그르비치
(Ivo Grbić)
1996년 1월 18일 (28세)20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3이비차 이부시치
(Ivica Ivušić)
1995년 2월 1일 (29세)50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포스 FC
DF2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2000년 4월 2일 (24세)80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3보르나 바리시치
(Borna Barišić)
1992년 11월 10일 (31세)29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5마르틴 에를리치
(Martin Erlić)
1998년 1월 24일 (26세)4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6데얀 로브렌
(Dejan Lovren)
1989년 7월 5일 (34세)785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19보르나 소사
(Borna Sosa)
1998년 1월 21일 (26세)13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20요슈코 그바르디올
(Joško Gvardiol)
2002년 1월 23일 (22세)192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21도마고이 비다
(Domagoj Vida)
1989년 4월 29일 (35세)1004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22요시프 유라노비치
(Josip Juranović)
1995년 8월 16일 (28세)270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24요시프 슈탈로
(Josip Šutalo)
2000년 2월 28일 (24세)4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FC 아약스
MF7로브로 마예르
(Lovro Majer)
1998년 1월 17일 (26세)184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8마테오 코바치치
(Mateo Kovačić)
1994년 5월 6일 (30세)91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0루카 모드리치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a Modrić)
1985년 9월 9일 (38세)16223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1마르첼로 브로조비치
(Marcelo Brozović)
1992년 11월 16일 (31세)837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13니콜라 블라시치
(Nikola Vlašić)
1997년 10월 4일 (26세)48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15마리오 파샬리치
(Mario Pašalić)
1995년 2월 9일 (29세)50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25루카 수치치
(Luka Sučić)
2002년 9월 8일 (21세)40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26크리스티얀 야키치
(Kristijan Jakić)
1997년 5월 14일 (27세)50파일:독일 국기.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W4이반 페리시치
(Ivan Perišić)
1989년 2월 2일 (35세)12333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9안드레이 크라마리치
(Andrej Kramarić)
1991년 6월 19일 (32세)8122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4마르코 리바야
(Marko Livaja)
1993년 8월 26일 (30세)204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16브루노 페트코비치
(Bruno Petković)
1994년 9월 16일 (29세)297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17안테 부디미르
(Ante Budimir)
1991년 7월 22일 (32세)171파일:스페인 국기.svg CA 오사수나
18미슬라브 오르시치
(Mislav Oršić)
1992년 12월 29일 (31세)272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15일





[1] 3미들의 메짤라.[2] 중앙 미드필더[1], 공격형 미드필더, 측면 미드필더[3] 2023년 11월 22일 기준[4] 자신의 우상인 모드리치도 원래는 바르사의 팬이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0:14:32에 나무위키 로브로 마예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